2025/02 5

안전-감전 / 교류가 직류보다 위험한 이유

전기안전관리 - 감전재해 및 방지대책전격의 위험 / 통전전류와 인체반응 / 심실세동전류와 통전시간 / 단로기 / 유입차단기 / 감전사고 / 감전사고 시 응급조치 감전(전격)  ㅁ교류가 직류보다 위험한 이유고압에서는 교류든 직류든 위험하다교류가 직류보다 위험한 이유는전압이 동일한 경우 교류는 극성의 변화로 더 심한 근육 경련(특히 심장 위험)을 일으킨다 이로인한 근육수축으로 벗어나기 어렵다(50V 초과한 고압일수록) 또한 같은 전압이라도 교류는 직류에 비해 피크값이 높다(루트2배)  ---ㅁ가수전류(이탈전류)-상용주파수 60[Hz]에서 10~15[mA]+(마비한계전류)인체가 자력으로 이탈 가능한 전류 통전전류의 종류 및 전류값1.최소감지전류ㆍ전류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최소전류ㆍ통전전류:60Hz에서 성인 ..

안전 2025.02.28

기계-흡수식 냉동기 / 전기 냉장고

전기 냉장고 원리  흡수식 냉동기 원리1. 증발과 흡수2. 흡수와 재생3. 재생과 응축 물이 전열관(진공상태) 닿으면 5도에서 증발전열관 내부 물의 열을 빼앗김 -> 냉방+ 증발된 증기는 흡수 되어야 함 = 리튬브로마이드   리튬브로마이드(LiBr)라고 하는 고성능의 흡수제를 넣은 전열관이 있는데, 이곳에 설치된 밀폐된 용기에서 공기를 제거하여 6.5mmHg로 압력을 유지합니다. 여기서 말하는 6.5mmHg은 흔히 말하는 '진공상태'를 뜻하는 압력입 니다. 이렇게 진공상태가 된 후에 전열관에 물을 떨어뜨리면 5℃에서 물이 증발하게 됩니다. 원래 물은 100℃ 에서 끓고 증 발하지만, 이런 특수한 진공상태에서는 5도만 되도 증발할 수 있습니다. 증발하면서 전열관 내부의 물이 가진 열을 빼앗고, 열을 빼앗긴..

기계 2025.02.26

전기-수변전-ATS / ASS / AISS

전기 ATS(automatic transfer switch) 자동절체스위치 또는 자동 절환 스위치라고도 불리우는데,상용전원이 정전 및 일정 기준전압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, 상용전원을 비상용 발전기의 예비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서, 비상부하 및 소방부하 등에 전원을 차질없이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.ASS(automatic section switch) 자동고장구분개폐기자동 고장구분 개폐기 또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라고도 불리우는데,수전용량이 300[kVA]를 초과하고 1,000[kVA] 이하이면서, 특고압(7[kV]를 초과하는 전압)을 사용하는 간이수전설비의 인입구에 설치해서 고장구간의 확대를 방지하고 계통을 보호합니다. ASS는 우리나라 배전선로의 근간을 이루는3상 4선식 22.9kV-Y 다중접지 방식의 단..

전기 2025.02.24

전기-전등-플리커현상

전기-플리커현상플리커 현상은 전기 조명에서 빛의 강도가 불규칙하게 변동하여 발생하는 시각적 현상을 말합니다.  이는 주로 전력 공급 의 전압 변동에 의해 발생전압의 불안정한 변동이 조명 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에 영향을 주면,빛의 강도가 변화하여 플리커 현상이 발생합니다.  전압 변동 -> 플리커 현상 - 원인 1. 전압 변동 - 전력망에서 (급격한 전력 수요 변화)2.가변 부하 - 대형 장비 가동 (급격한 전력 수요 변화)3. 전력 품질 (고조파 / 전압 불균형)4. 전기적 간섭 (특히 고전압 전력선 근처)5. 조명적 특성 (특히 형광등/할로겐 램프)  1. 전력망 내 전압 변동 대규모 전력 사용자의 영향: 특정 시간에 공장과 같은 대규모 전력 사용자가 전력망에 연결되거나 해제될 때, 전력 수요의 급격한 ..

전기 2025.02.23

소방-배관-(동파방지)메탈히터 / PTC 열선 / 온풍기

소방 메탈히터 동결방지 동파방지  국부가열을 통한 전도와 대류를 통해 최소의 에너지로 동결 방지 화재위험 zero?  ▶동결방지 원리 부착(관경에 따른 메탈히터 부착)→ 발열(220V전원투입 메탈히터발열) → 전도(배관으로열전달)→ 대류(배관내유체대류발생)→동파방지화재예방 ▶메탈히터 동결방지시스템 대상 건축설비 : 금, 배수펌프 및 배관, 수조등 소방설비 : 스프링클러 및 옥내소화전설비, 소화펌프, 소화수조 등 공조설비 : 라지에이터, 냉각탑등 산업설비: Plant배관, 지역난방설비, 자원재활용설비, 열병합설비 등 폭발위험장소 : 원자력, 반도체, 가스분진시설 등   과열이 발생하지 않는 PTC히터를 사용한다.  전원 인입 초기에 과도한 돌입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전력의 품질 손상 없이 제어하고 컨..

소방 2025.02.23